본문 바로가기

23년 2학기 학교공부/컴퓨터네트워크

(40)
[CN] TCP 📁 TCP 1. 양방향 full duplex data 전송이 가능한 프로토콜. tcp 연결을 통해서 클라이언트-> 서버, 서버-> 클라이언트 방향으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MSS(maximum segment size) : 데이터 전송을 할 때 최대 segment 크기가 주어짐. tcp에서는 바이트로 연속적으로 전달하긴 하지만 물리적으로는 세그먼트 단위임. mss는 이더넷 프레임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2. connection-oriented TC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연결을 만들고 난 다음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연결을 만드는 과정을 handshaking이라고 부른다. 3번의 메세지 교환을 통해 만들어진다고해서 3-way handshake 라는 이름이 붙음. 3. Flow contr..
[CN] 전송 프로토콜 TCP/IP 프로토콜이 계층적으로 어떻게 생겼나를 보여주는 예제. 응용계층 : 우리가 쓰는 웹브라우저, 토렌트 등 실제 프로그램 전송계층 : 운영체제. 직접 보긴 어렵지만 소켓, api 등을 활용할 때 내가 쓰는 전송계층의 프로토콜이 tcp, udp 등을 구분해서 활용할 수 있음. OSI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7단계로 나누어짐.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 : TCP/IP 모델에서 응용계층으로 통합된 부분. Transport : 전송 계층. tcp, udp Network : IP Data link, Physical : 이더넷, 와이파이 등 지칭 TCP/IP 에서 대표적인 전송계층 프로토콜 두가지는 TCP, UDP이다. 1. TCP - 신뢰성 기능 제공 신뢰성 : 오류가 ..
[CN] 응용 계층 프로토콜 : FTP, SMTP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응용 계층 프로토콜 ftp, smtp, sip, pop3, imap, snmp 등 여러 종류가 존재.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smtp : 이메일은 전송하는 프로토콜 sip : session 임비테이션 프로토콜. 화상회의 프로토콜에서 사용 pop3, imap : 이메일을 다운받고 전송하는 프로토콜 snmp : 망 관리 프로토콜. 현재는 http가 많이 쓰이고있음. 📁 FTP (File Transfer Protocol) 응용 계층 프로토콜 중 하나로 파일을 전송함. 위와 같이 ftp 명령어로 FTP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로그인하는 절차가 있는데, 이 서버는 8,9줄과 같이 anonymous로 익명 ..
[CN] P2P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P2P P2P란 peer to peer 프로토콜의 약자로, p2p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보여주고 있음. peer라는 단어 뜻은 기본적으로 동료, 상대방 이런 뜻. 전통적으로 컴네는 서버를 중심으로 클라이언트들이 접속하는 상태를 사용하지만, peer는 서버가 없는 구조를 지칭. 항상 서버가 접속 가능하다(always on) 상태를 가지고 있지만, p2p에서는 always on 상태가 없음. 그러면 서버가 없이 어떻게 통신이 가능한가? 많은 피어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통신함. 피어들은 가끔씩 연결될 수가 있음. peer라는건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가 될 수 있는데, 이런 피어들은 가끔씩 접속이 되고, 접속이 안된 ..
[CN] DNS(Domain Name System)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DNS(Domain Name System) DNS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분산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에 접속할때 우리는 기억하기 힘든 IP주소가 아닌 www.naver.com과 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이렇게 사용하기 위해서 입력한 도메인을 실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되는 IP 주소로 바꾸고,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매핑된 IP주소로 접속하게끔 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전체 시스템을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이라고 한다. DNS는 상위기관에서 인증된 기관에게 도메인을 생성하거나 IP주소로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준다. 즉 DNS는 상위기관과 하위기관같이..
[CN] 인터넷 속도 측정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 https://speed.nia.or.kr/index.asp NIA 인터넷 속도측정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속도 품질측정 시스템 speed.nia.or.kr https://www.speedtest.net/ Speedtest by Ookla - The Global Broadband Speed Test Use Speedtest on all your devices with our free desktop and mobile apps. www.speedtest.net 📁 인터넷 속도 📁 인터넷 성능 지표 1. 속도(대역폭, 비트전송률) 네트워크 분야에서 대역폭(bandwidth)이..
[CN] IP주소란?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인터넷 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의 주소는 크게 논리적인 주소와 물리적인 주소로 분류된다. - IP address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개체(컴퓨터, 네트워크카드 등)의 논리적인 주소이다. ISP/공유기에서 할당하며, 네트워크에 따라 변동되기도 한다. - MAC address 디바이스(하드웨어) 고유의 식별자인 물리적인 주소는 MAC address라고 부른다. 물리적인 주소이므로 네트워크 카드 제조사에서 부여하며 특별한 조작이 없으면 절대 바뀌지 않는다. 이더넷은 MAC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하므로 이더넷 메시지에서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밑에 IP 메시지에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명령 프롬프트와..
[CN] HTTP Cookie와 Cache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HTTP Cookie HTTP 웹서버 자체에는 상태가 없다. 예를 들어, HTTP GET 메서드로 main.html 페이지를 요청한다고 하자. 이렇게 요청된 main.html 페이지는 단지 코드로 저장된 html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온 것일 뿐, 회원 로그인이 되어있는 상태인지, 혹은 이 페이지에 방문했던적이 있는지 등의 정보는 HTTP 웹서버에 저장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경우처럼 상태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이럴때 HTTP Cookie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상태 관리 목적을 수행한다. - 세션 관리 : 로그인, 장바구니, 게임 스코어 등 - 개인화 : 사용자 선호, 테마 등 - 트래킹 : 사용자 행동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