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3년 2학기 학교공부/컴퓨터네트워크

[CN] 라우팅 프로토콜 : Intra-AS, Inter-AS

728x90
반응형
SMALL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대표적인 라우팅 알고리즘에 Link State와 Distance Vector가 있고, 각 방식은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aowwl.tistory.com/284

 

[CN] 네트워크 계층 - control plane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전송한다. 같은

aowwl.tistory.com

 

 

하지만 위 설명과 같은 이론은 모든 라우터가 식별 가능하고, 네트워크가 flat하다는 이상적인 가정 하에 이루어지는 이론이다.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때문에 이상적인 상황이 불가능하다.

 

 

1. Scale

목적지 노드의 개수가 매우 많기때문에 라우팅 테이블에 모든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없고, 라우팅 테이블의 교환이 링크를 마비시킬수도 있다.

 

2. Administrative autonomy

인터넷이란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라고 말할 수 있는데, 각 네트워크의 admin은 자신 네트워크 내부의 라우팅을 제어하고 싶어한다. 즉 네트워크마다 자율성이 있어, 각 네트워크마다 최적의 통신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거대한 규모의 라우터들을 관리하기 위해, 라우터를 AS(autonomous system)이라는 단위로 묶을 수 있다. 라우터의 집합인 AS는 domains 혹은 기관이라고도 불린다.

 

 

 

 

 

📁 Intra-AS, Inter-AS

 

라우터들을 묶어서 전체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AS로 나누었으면, AS와 AS 사이에서의 통신과, AS 내부에서의 통신이 이루어져야한다. AS와 AS간의 라우팅을 Inter-AS, AS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라우팅을 Intra-AS라고 부른다.

 

 

Inter-AS (Inter-domain)

  • AS와 AS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통신
  • gateway 라우터가 다른 AS의 gateway라우터와 통신한다.

 

Intra-AS (Intra-domain)

  • AS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통신
  • 어떤 한 AS에 속하는 모든 라우터들은 다 같은 Intra-AS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한다.

 

🌙 각 AS의 edge에 존재하는, 다른 AS와 연결된 라우터를 gateway 라우터라고 부른다.

 

 

Forwarding table은 intra-AS와 inter-AS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된다.

 

intra-AS 라우팅은 AS 내부에서의 destination을 위한 entry들을 결정하고, inter-AS와 intra-AS 라우팅이 함께 external destination을 위한 entry들을 결정해준다.

 

 

 

 

 

 📁 Inter-AS Routing

 

만약 어디에선가 AS1로 데이터를 전달했다고 하자. 이때 AS1 내부의 라우터들중 어떤 라우터가 해당 데이터를 받아야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inter-AS이다.

 

AS1의 inter-AS 라우팅은 먼저 AS2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대상과 AS3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대상을 각각 알아낸 뒤, 이 정보를 AS1 내부의 모든 라우터에게 전파해야한다.

 

 

Inter-AS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BGP 등이 있다.

 

 

 

 

 

📁 Intra-AS Routing

흔히 알려진 Intra-AS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30초마다 distance vector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 구현이 쉽다.
  • 더이상 잘 사용되지 않지만, 방식 자체는 네트워크 내부에 구현되어있다.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IGRP를 개선한 방식으로, Ciso사 전용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통해 구한 최단 경로를 바탕으로 패킷을 전달한다.
  • link state 라우팅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