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023학년도 2학기 충남대학교 이영석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수업 정리자료입니다.
📁 E-mail Security
이메일을 전송할 때 보안과 관련하여 중요한 점은 세가지가 있다.
- 기밀성(confidential)
- 무결성(integrity)
- 인증(authentication)
1. with Confidentiality
Alice가 Bob에게 기밀성을 유지하는 이메일을 보내고 싶어한다고 하자.
Alice의 입장
- 먼저 Alice는 Ks라는 대칭키를 제작한다. (이것을 Bob과 안전하게 나눠갖는 것이 목적)
- 보내려는 메세지 m 을 Alice가 제작한 대칭키 Ks로 암호화 한다.
- 그 대칭키 Ks를 Bob의 공개키 Kb 로 암호화 한다. (포인트!!) -> 이 말은 Bob만이 자신의 비밀키로 저것을 열 수가 있음.
- 이 둘을 Bob에게 보낸다.
- Bob은 자신의 비밀키로 Ks를 획득한다.
- 그리고 Ks로 잠긴 메세지박스를 Ks로 열어 m을 획득한다.
대칭키 Ks는 Bob의 개인키로만 복호화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의도된 수신자인 Bob만 메세지를 얻을 수 있어 기밀성(confidential)이 보장된다.
2. with Integrity and Authentication
Alice가 Bob에게 무결성과 사용자 인증을 유지하는 이메일을 보내고 싶어한다고 하자.
- 앨리스는 해시 함수에 원본 데이터 m을 넣어서 나온 값을 본인의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보낸다.
- 그리고 원본 데이터 m을 함께 보낸다. (그림 상에는 암호화 과정이 없지만, 여기서 다루지 않는 기본적인 암호화 과정이 있을 것으로 추측)
- 밥은 받은 원본 데이터 m을 해시 함수에 넣어서 나온 값과, 앨리스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나온 값을 서로 비교한다.
두 해시 함수 값을 비교하는 부분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이, 이를 앨리스로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가능하다는 점에서 앨리스의 개인키로 암호화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므로 인증이 보장된다.
3. with Confidentiality, message Integrity, Authentication
최종적으로 Alice가 Bob에게 기밀성, 사용자 인증, 무결성을 모두 보장하는 이메일을 보내고 싶어한다.
- Alice는 메세지를 Hash하여 mac을 획득한다. H(*) 단계
- 그것을 자신의 private key(비밀 키)로 잠근다. (전자서명의 단계)
- 그리고 메세지와 잠근 mac을 (서명한) Alice가 생성한 대칭키 Ks로 잠가서 Bob에게 보낸다.
- 대칭키 Ks도 Bob의 public key(공개키)로 잠가서 보낸다.
- 그 2개의 소포를 받은 Bob은 먼저 자신의 private key(비밀 키) 로 앨리스가 생성한 Ks를 획득한다.
- 그리고 획득 한 Ks로 나머지를 열어서 어떤 메세지와 누군가(Alice)가 서명한 Mac을 발견한다. (그 메세지는 아직 누가 보냈는지 모름)
- Alice의 public key로 열었더니 Mac이 나왔다! (Alice가 보낸 것을 확신 ! 인증단계)
- 그리고 메세지를 해시해서 Mac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PGP(Pretty Good Privacy)
PGP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이메일 보안 기술 중 하나로 Phil Zimmermann이 개발했으며, 온라인 통신 시스템의 개인 정보 보호, 보안 및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암호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AES256으로 암호화되며, 전자서명을 지원한다. (?)
GnuPG란 사용자가 통신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OpenPGP의 구현이다. 키관리 시스템과 모듈을 사용하여 공개키 경로에 엑세스하고, 이런 공개키 경로는 다른 사용자가 인터넷에 게시한 공개키를 제공하므로, 개인키로 암호화한 메세지를 보내면 공개키 경로에 엑세스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이 해당 메세지를 복호화할 수 있다.
📁 S/MIME(Multi-purpose Internet Main Exchange)
이메일 확장 표준.
암호화+디지털 서명. 기밀성, 인증, 무결성
참고
https://velog.io/@dltmdrl1244/%EB%84%A4%ED%8A%B8%EC%9B%8C%ED%81%AC-8-4.-e-mail-Security
[네트워크] 8-4. e-mail Security
[네트워크] 8-4. e-mail Security
velog.io
https://pjh3749.tistory.com/223
[컴퓨터 보안] PGP (Pretty Good Privacy)와 Kerberos (커버로스)
PGP (Pretty Good Privacy)PGP는 인터넷 전자우편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데 사용된다. Phil Zimmermann이라는 사람이 개발을 했는데 개발 후에 이 사람이 수출을 시도하려다 미국에 저지 당하게 된다. 하
pjh3749.tistory.com
https://itnovice1.blogspot.com/2019/10/pgppretty-good-privacy.html
[정보보안] PGP(Pretty Good Privacy)란?
[정보보안] PGP(Pretty Good Privacy)란? 온라인 통신 시스템의 개인 정보 보호, 보안 및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암호화 소프트웨어 PGP는 공개 키 암호 방식 을 구현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itnovice1.blogspot.com
컴퓨터네트워크 - Network Security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관련 포스팅
velog.io
https://daily.from-my-daily.com/entry/frommydaily-Twofish-%EC%95%94%ED%98%B8%ED%99%94%EB%9E%80
Twofish 암호화란?
Twofish 암호화란? 암혹학에서 투피시(Twofish)는 블록크기가 128비트, 키 크기가 최대 256비트인 대칭키 블록암호시스템중에 하나입니다. 이 암호 시스템은 표준화 대상으로 선정되지 못하였고 초기
daily.from-my-daily.com